유성 구개수 파열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혀의 후설을 목젖에 대고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자음이다. 조음 방법은 파열음이며, 발성은 유성음이다. 이 소리는 아랍어, 몽골어, 페르시아어, 소말리아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언어에 따라 다른 음운의 변이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다양한 언어에서 발견되는 자음이다.
2. 특징
유성 구개수 파열음의 특징:3. 언어별 예시
계열 언어 단어 IPA 의미 비고 셈어 수단어 بقرة|바가라apd [bɑɢɑrɑ] '소' 표준 아랍어의 에 해당한다. 아랍어 음운론 참조 예멘어 قات|가트ar '카트' 일부 방언.[1] 표준 아랍어의 에 해당한다. 아랍어 음운론 참조 리샨 디단 우르미 방언 בקא|바카arc '개구리' 모음/공명음 사이일 때 의 변이음. 게르만어 영어 호주 gaudy|가우디영어 '화려한' 전구개; 앞에서 의 변이음.[1] 호주 영어 음운론 참조 예니세이어 케트어 báŋquk|바ŋ꾹ket '땅 속 동굴' 와카시어 콰콰갈라어 ǥilakas'la|길라카슬라kwk '감사합니다' [1] 드라비다어 말토어 तेंग़े|텡게mjt '말하다' 뒤의 의 변이음, 는 남부 및 서부 방언에서 이다. 몽골어 몽골어 Монгол|몽골mn '몽골의' 후설 모음 앞의 의 변이음, 어말 음소. 만주어 | ᡤ᠊|gmnc | 모음 a, o, ū 앞에서 고립어 니브흐어 ньыӈ ӷан|니응 간niv '우리 개' 의 변이음 인도이란어 페르시아어 이란어 قهوه|가흐베fa '커피' 페르시아어 음운론 참조.[1] 쿠시어 소말리아어 Muqdisho|무크디쇼so '모가디슈' 의 변이음. 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 북동캅카스어 타바사란어 дугу|두구tab 그 (능격) 차쿠르어 къгяйэ|카얘tkr '돌' [1] 나데네어 틀링기트어 ghooch|구츠tli '언덕' 일부 젊은 화자들 사이에서는 표준 이다. 틀링기트어 음운론 참조 튀르크어 투르크멘어 gar|가르tkm '눈' 후설 모음 옆의 /ɡ/의 변이음 창어 수미어 하위 colspan=2 align=center | '조리다' 약간 파찰음화됨; 소수의 단어에서만 나타난다. 상위 수미어의 군에 해당한다. 파마늉간어 얀유아어 kuykurlu|쿠이쿨루jao colspan="1" align="center" | '신성한' 전구개.[1] 평문 및 비음화 버전을 대조한다. 기타 이누이트어 | | 일부 방언에서
3. 1. 셈어족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수단어 | بقرة|rtl=yesapd | '소' | 표준 아랍어의 에 해당하며, 아랍어 음운론을 참조한다. | |
예멘어 | قات|rtl=yesar | '카트' | 일부 방언에서 표준 아랍어의 에 해당하며, 아랍어 음운론을 참조한다.[1] | |
리샨 디단 (우르미 방언) | 바카 (baqqa) | '개구리' | 모음/공명음 사이에서 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
3. 2. 게르만어파
'''g'''audy영어는 '화려한'이라는 뜻으로, 호주 영어에서 /ʊ oː ɔ oɪ ʊə/ 앞의 /ɡ/ 변이음으로 나타난다.[1]3. 3. 예니세이어족
케트어에서는 '땅 속 동굴'을 뜻하는 'báŋq'uk'()에서 /ŋ/ 뒤에 /q/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3. 4. 와카시어족
ǥilakas'la|길라카슬라kwk[1]는 콰콰갈라어로 '감사합니다'라는 뜻이다.[1]3. 5. 드라비다어족
말토어에서 '말하다'를 뜻하는 तेंग़े|텡게mjt는 /ŋ/ 뒤에 /ʁ/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남부 및 서부 방언에서는 /ʁ, ŋʁ/가 /h/로 나타나기도 한다.3. 6. 몽골어족
에서 후설 모음 앞의 /g/ 변이음, 어말 음소로 나타난다.계열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몽골어족 | 몽골어 | [mɔɴɢɔ̆ɮ] | '몽골의' | 후설 모음 앞의 /g/ 변이음, 어말 음소. |
3. 7. 고립어
ньыӈ ӷан|니응 간niv에서 /q/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뜻은 '우리 개'이다.3. 8. 인도이란어족
이란어에서 قهوه|ɢæhˈve|커피fa에서 나타난다.[1]3. 9. 쿠시어족
Muqdisho|무크디쇼so (모가디슈)에서 와 같이 /q/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소말리아어 음운론 참조.3. 10. 북동캅카스어족
3. 11. 나데네어족
틀링기트어의 경우 '언덕'(ghooch|구츠tli)이라는 단어에서 일부 젊은 화자들에게서 나타나는데, IPA로는 [ɢuːt͡ʃʰ]로 표기한다. 이는 표준 발음인 [quːt͡ʃʰ]와 차이가 있다.3. 12. 튀르크어족
gar|가르|tkm || || '눈' || 후설 모음 옆의 /ɡ/의 변이음3. 13. 창어족
(하위)에서는 '조리다'(ɢʶo˩˥)에서 약간 파찰음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소수의 단어에서만 나타나며, 상위 수미어의 /Nɡ/ 군에 해당한다.3. 14. 파마늉간어족
얀유아어에서 '신성한'을 뜻하는 단어는 kuykurlu|쿠이쿨루aus이며, 전구개음 로 소리낸다.[1]3. 1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